네임서버의 운영

네임서버의 운영

필요사항

  • 도메인 : 도메인 등록 업체를 통해 등록 및 관리를 대행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아이피 : ISP(Internet Service Provider)나 IDC(Internet Data Center)에서 부여받으면 됩니다.

생성요청

도메인이름을 등록한 도메인 등록 업체에 네임서버 생성을 요청하여 네임서버 생성 후 부여 받은 IP를 이용해 서버(Web, FTP, Telnet, SSH, DB 등)의 환경을 설정합니다.

  • 네임서버명 등록
  • 네임서버의 환경 설정 (named.conf)
  • 도메인 이름을 IP주소에 연결하기 위한 존 파일 설정(xxx.zone)
  • IP 주소로 도메인 이름을 찾기 위한 역방향 조회 영역 설정(xxx.in-addr.arpa)
    예) 1차 네임서버 : ns1.nic.or.kr 또는 ns.mydomain.com
         2차 네임서버 : ns2.nic.or.kr 또는 ns1.mydomain.com
  • 존 파일 설정 시 사용되는 대표적인 레코드
존 파일 설정 시 사용되는 대표적인 레코드
레코드 유형 역할
SOA 현재 영역에 대한 권한을 나타냅니다. 하나의 존 파일에는 반드시 하나만 있어야 합니다.
NS 네임서버를 지정합니다.
A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매핑할 때 사용
PTR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매핑할 때 사용
MX 메일을 MX 레코드로 지정한 호스트로 전송
CNAME 호스트에 별칭을 연결해 줄 때 사용

네임서버의 변경

네임서버는 도메인을 등록한 해당 업체의 사이트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변경 적용 시간 및 유의사항

  • 네임서버 정보를 변경하면 반영까지 짧게는 5-10분 정도 걸리지만, 길면 최장 2~3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. 네임서버 정보가 변경된 이후 웹 사이트 접속, 이메일, FTP 등 주요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 최근 gTLD와 ccTLD 등의 관계기관에서 active update 방식을 구현하여 네임서버의 정보는 실시간 업데이트되지만, 네임서버 정보를 인식하는 ISP DNS의 업데이트 주기의 문제로 대략 24~48시간 정도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.
  • 네임서버 정보의 경우 국제도메인은 인터닉(INTERNIC)과 각 레지스트리에 등록이 되어 있어야만 사용이 가능하며, KR 도메인은 NIDA에 등록이 되어있어야 네임서버 설정이 가능합니다.
  • ORG, BIZ, INFO 및 몇몇 국제, 국가 도메인은 2차 네임서버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 정상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네임서버의 관리

네임서버로 사용 중인 도메인이 삭제되면 해당 도메인을 네임서버로 지정한 도메인에 대한 일체의 서비스가 정상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네임서버가 삭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

네임서버에 의한 인터넷 접속 절차

< 인터넷 접속 프로세스 >
네임서버에 의한 인터넷 접속 절차
1차 네임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도메인입력 → 인터넷접속 → 1차 네임서버 접속 → 서비스서버 접속(Web, FTP, Telnet, Mail, SSH, DB)
1차 네임서버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도메인입력 → 인터넷접속 → 1차 네임서버 접속(장애) → 2차 네임서버 접속 → 서비스 서버 접속
(Web, FTP, Telnet, Mail, SSH, DB)
아사달 AI 챗봇 챗봇